Menu

Contents

3. 정전기학 문제의 풀이

정전기학의 주요 관심사는 전하분포가 주어질 경우 공간내에서 전기장과 전기 포텐셜을 구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식을 2장에서 얻어고, 다음식들을 이용하면, 전하분포가 주어질 경우 전기장과 포텐셜을 구할 수 있을것이다. \begin{equation} \begin{aligned} & \varphi(\vec{r})=\frac{1}{4 \pi \epsilon_0} \int \frac{d q^{\prime}}{\left|\vec{r}-\vec{r}^{\prime}\right|}, \\ & \vec{E}(\vec{r})=\frac{1}{4 \pi \epsilon_0} \int \frac{\left(\vec{r}-\vec{r}^{\prime}\right) d q^{\prime}}{\left|\vec{r}-\vec{r}^{\prime}\right|^3} . \end{aligned} \end{equation} 그러나 문제의 형태에 따라서 전하분포가 주어지지 않고, 전기장이 먼저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위 식들을 이용해서 접근하는 것은 문제가 있고 좀더 유연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3.1 Poisson 방정식

저번 장에서 본것 처럼, 가우스 법칙의 미분형을 Poisson 방정식이라고 한다. $$ \nabla^2 \varphi=-\frac{\rho}{\epsilon_0} $$ $\nabla^2$은 Laplacian이라는 연산자이고, 좌표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begin{equation} \begin{aligned} &\nabla^2 \varphi \equiv \frac{\partial^2 \varphi}{\partial x^2}+\frac{\partial^2 \varphi}{\partial y^2}+\frac{\partial^2 \varphi}{\partial z^2} \\ &\nabla^2 \varphi \equiv \frac{1}{r^2} \frac{\partial}{\partial r}\left(r^2 \frac{\partial \varphi}{\partial r}\right)+\frac{1}{r^2 \sin \theta} \frac{\partial}{\partial \theta}\left(\sin \theta \frac{\partial \varphi}{\partial \theta}\right)+\frac{1}{r^2 \sin ^2 \theta} \frac{\partial^2 \varphi}{\partial \phi^2} \\ &\nabla^2 \varphi \equiv \frac{1}{r} \frac{\partial}{\partial r}\left(r \frac{\partial \varphi}{\partial r}\right)+\frac{1}{r^2} \frac{\partial^2 \varphi}{\partial \theta^2}+\frac{\partial^2 \varphi}{\partial z^2} \end{aligned} \end{equation}

3.2 Laplace 방정식

전하밀도가 0인 곳에서는 Poisson 방정식의 우변을 0으로 처리하는데, 이 방정식을 Laplace 방정식이라고 한다.
Laplace 방정식: \begin{equation} \nabla^2 \varphi=0 \end{equation} Laplace 방정식의 해가 만족하는 중요한 성질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 정리1
$\varphi_1$, $\varphi_2, \cdots, \varphi_n$ 들이 Laplace 방정식의 해이면 $$ \varphi=C_1 \varphi_1+C_2 \varphi_2+\cdots+C_n \varphi_n $$ 도 Laplace 방정식의 해이다.
증명
$$ \begin{aligned} \nabla^2 \varphi & =\nabla^2 C_1 \varphi_1+\nabla^2 C_2 \varphi_2+\cdots+\nabla^2 C_n \varphi_n \\ & =C_1 \nabla^2 \varphi_1+C_2 \nabla^2 \varphi_2+\cdots+C_n \nabla^2 \varphi_n \\ & =0 \end{aligned} $$ • 정리2
Laplace 방정식의 두 해가 같은 경계조건을 만족하면, 두 해는 모든 공간에서 같은 값을 가지거나 단지 상수만큼 차이가 난다.
증명
N개의 도체들이 있고, 그 도체들 표면이 $S_1$, $S_2$, $\cdots$, $S_N$ 라고 하자. 이 도체를 모두 감싸고 있는 새로운 표면 $S$를 생각하고, $S$와 도체들 사이의 공간 $V_0$에서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하는 두 해 $\varphi_1$와 $\varphi_2$를 생각하자. $\varphi_1$와 $\varphi_2$가 도체 표면에서 동일한 경계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 즉 $\varphi_{1,경계} = \varphi_{2,경계}$ 또는 $\frac{d \varphi_{1,경계}}{dn} = \frac{d \varphi_{2,경계}}{dn}$. 경계조건은 위와 같이 $\varphi$ 값 또는 그것의 미분 값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n$으로 미분하는 것은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미분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어서 다음과 같이 쓸수도 있다.
$$\nabla \varphi_{1,경계} \cdot \hat{n} = \nabla \varphi_{2,경계} \cdot \hat{n}$$ 우리가 증명해야 할 것은 $\varphi_1$와 $\varphi_2$가 도체 표면에서 같은 경계조건을 만족한다면, $V_0$에서도 같은 해 또는 상수만큼만 차이나는 해라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Phi = \varphi_1-\varphi_2$ 로 주어지는 새로운 함수를 생각하자.
그러면 $\Phi \nabla \Phi \cdot \hat{n}$은 경계에서 항상 0일 것이다. 왜냐하면 경계에서는 $\Phi$가 0이거나 $\nabla \Phi \cdot \hat{n}$가 0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Divergence 정히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begin{aligned} \int_{V_0} \nabla \cdot(\Phi \nabla \Phi) d v & =\int_{s+s_1+\cdots s_N} \Phi \nabla \Phi \cdot \hat{n} d a=0 \end{aligned} $$ (3-1) 위 식의 좌변이 0이다.
$$ \nabla \cdot(\Phi \nabla \Phi)=\Phi \nabla^2 \Phi+(\nabla \Phi)^2 $$ 위 식에서 $\nabla^2 \Phi$가 0이므로, 결과적으로 (3-1)식의 좌변은 다음이 되고, $$ \int_{v_0}(\nabla \Phi)^2 d v=0 $$ $\nabla \Phi$ 가 $V_0$공간 내에서 0이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V_0$공간 내에서 $\varphi_1$와 $\varphi_2$가 같거나 상수만큼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3 Laplace 방정식의 해석적 해

• 1차원 해
\begin{equation} \frac{d^2 \varphi}{d x^2}=0 \quad , \quad \varphi(x)=a x+b \end{equation} \begin{equation} \frac{1}{r^2} \frac{d}{d r}\left(r^2 \frac{d \varphi}{d r}\right)=0, \quad \varphi(r)=-\frac{a}{r}+b \end{equation}

• 구좌표계에서의 Laplace 방정식의 해
구좌표에 대한 Laplace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begin{equation} \begin{aligned} &\nabla^2 \varphi = 0 \\ &\frac{1}{r^2} \frac{\partial}{\partial r}\left(r^2 \frac{\partial \varphi}{\partial r}\right)+\frac{1}{r^2 \sin \theta} \frac{\partial}{\partial \theta}\left(\sin \theta \frac{\partial \varphi}{\partial \theta}\right)+\frac{1}{r^2 \sin ^2 \theta} \frac{\partial^2 \varphi}{\partial \phi^2} =0 \end{aligned} \end{equation} $\varphi$가 ($r$, $\theta$, $\phi$)의 구 좌표로 표현될때, 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변수 분리법으로 풀게 된다. $$\varphi(r, \theta, \phi)=R(r)\Theta(\theta)\Phi(\phi)$$ 여기서 $\phi$에 대해서 $\varphi$가 같은 값을 가지는 특수한 경우만 다루어 보자.
그러면 $\varphi(r, \theta)=R(r)\Theta(\theta)$ 을 Laplace 방정식에 아래와 같이 대입한다. $$ \frac{1}{r^2} \frac{\partial}{\partial r}\left(r^2 \frac{\partial \varphi}{\partial r}\right)+\frac{1}{r^2 \sin \theta} \frac{\partial}{\partial \theta}\left(\sin \theta \frac{\partial \varphi}{\partial \theta}\right)=0 . $$ $$ \frac{1}{r^2} \Theta(\theta) \frac{d}{d r}\left(r^2 \frac{d R}{d r}\right)+\frac{R(r)}{r^2 \sin \theta} \frac{d}{d \theta}\left(\sin \theta \frac{d \Theta}{d \theta}\right)=0 $$ $$ \frac{1}{R} \frac{d}{d r}\left(r^2 \frac{d R}{d r}\right)=-\frac{1}{\Theta \sin \theta} \frac{d}{d \theta}\left(\sin \theta \frac{d \Theta}{d \theta}\right) $$ 위 식의 좌변은 $r$만의 함수이고 우변은 $\theta$만의 함수인데, 모든 $r$과 $\theta$에 대해서 위 식이 성립하는 유일한 방법은 위 식의 양변이 어떤 상수가 되는 것이다. 이 상수는 좀더 세부적으로는 $n(n+1)$로 주어진다. 여기서 $n$은 0 이상의 정수이다. \begin{equation} \frac{1}{\sin \theta} \frac{d}{d \theta}\left(\sin \theta \frac{d \Theta}{d \theta}\right)+n(n+1) \Theta=0 \end{equation} 위와 같은 형태의 방정식을 Legendre 방정식이라고 한다. Legendre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begin{equation} \begin{array}{lc} n & P_n(\theta) \\ \hline 0 & 1 \\ 1 & \cos \theta \\ 2 & \frac{1}{2}\left(3 \cos ^2 \theta-1\right) \\ 3 & \frac{1}{2}\left(5 \cos ^3 \theta-3 \cos \theta\right) \end{array} \end{equation} 위 식에서 $P_n(\theta)$는 르장드르 다항식(Legendre polynomial)이라고 한다. $r$방향으로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고,
\begin{equation} \frac{d}{d r}\left(r^2 \frac{d R}{d r}\right)=n(n+1) R \end{equation} 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R_n=r^n \quad$ 또는 $\quad R_n=r^{-(n+1)}$. 그러면 최종해는 다음과 같다.
$\varphi_n=r^n P_n(\theta)$ 또는 $\varphi_n = r^{-(n+1)} P_n(\theta)$
위 식들을 Zonal harmonics라고 한다.
실제적인 상황과 맞는 최종해를 찾으려면 일반적으로 모든 $n$에 대한 합으로 얻는다.
$$ \sum_{n=0}^{\infty} \left(A_n r^n P_n(\theta) + C_n r^{-(n+1)} P_n(\theta) \right) $$

• 직교 좌표계에서의 Laplace 방정식의 해(부교재 참고) \begin{equation} \frac{\partial^2 \varphi}{\partial x^2}+\frac{\partial^2 \varphi}{\partial y^2}=0 \end{equation}

• 원통좌표계에서의 Laplace 방정식의 해(부교재 참고) $$ \frac{1}{r} \frac{\partial}{\partial r}\left(r \frac{\partial \varphi}{\partial r}\right)+\frac{1}{r^2} \frac{\partial^2 \varphi}{\partial \theta^2}=0 $$ $$ \frac{r}{Y} \frac{d}{d r}\left(r \frac{d Y}{d r}\right)=-\frac{1}{S} \frac{d^2 S}{d \theta^2}=k $$ $$ \begin{aligned} & \cos k^{1 / 2}(\theta+2 \pi)=\cos k^{1 / 2} \theta \\ & \sin k^{1 / 2}(\theta+2 \pi)=\sin k^{1 / 2} \theta \end{aligned} $$ \begin{array}{cc} 1, & \ln r, \\ r^n \cos n \theta, & r^{-n} \cos n \theta, \\ r^n \sin n \theta, & r^{-n} \sin n \theta \end{array}


• Laplace 방정식의 해의 적용
(예제)
일정한 전기장내의 중성 도체구
$+z$방향으로 일정한 전기장 $E_0$인 공간에 반지름 $a$인 도체구.

경계조건1: 무한대에서 ($r \rightarrow \infty$) 전기장이 $E_0 \hat{k}$
$$ \begin{aligned} {[\vec{E}(r, \theta)]_{r \rightarrow \infty} } & =\vec{E}_0=E_0 \hat{k} \\ {[\varphi(r, \theta)]_{r \rightarrow \infty} } & =-E_0 z+\text { 상수 } \\ & =-E_0 r \cos \theta+\text { 상수 } \end{aligned} $$ 경계조건2: 가운데 공이 중성의 도체 공이라는 사실
$r=a$에서 모든 $\theta$에 대해 같은 포텐셜($\varphi(a, \theta)$)을 가져야 함
$$ \begin{aligned} \varphi(r, \theta)= & A_1+C_1 r^{-1} \\ & +A_2 r \cos \theta+C_2 r^{-2} \cos \theta \\ & +\frac{1}{2} A_3 r^2\left(3 \cos ^2 \theta-1\right)+\frac{1}{2} C_3 r^{-3}\left(3 \cos ^2 \theta-1\right)+\cdots \end{aligned} $$ $$ \begin{aligned} & \varphi(r, \theta)=A_1-E_0 r \cos \theta+C_2 r^{-2} \cos \theta, \quad \text { for } \quad r \geq a \\ & \varphi(a, \theta)=\varphi_0 \end{aligned} $$ \begin{equation} \begin{gathered} E_r=-\frac{\partial \varphi}{\partial r}=E_0\left(1+2 \frac{a^3}{r^3}\right) \cos \theta, \\ E_\theta=-\frac{1}{r} \frac{\partial \varphi}{\partial \theta}=-E_0\left(1-\frac{a^3}{r^3}\right) \sin \theta, \\ \sigma(\theta)=\left.\epsilon_0 E_r\right|_{r=a}=3 \epsilon_0 E_0 \cos \theta . \end{gathered} \end{equation} \begin{equation} Q=a^2 \int_0^\pi \sigma(\theta) 2 \pi \sin \theta d \theta \end{equation}

3.4 영상전하법

• 반무한 도체 위의 점전하


반무한 도체 면에서 거리 $d$만큼 떨어진 거리에 점전하 $q$가 있는 경우에 공간내의 전기장을 구해보자. 도체표면의 면전하밀도 $\sigma$를 안다면 다음식으로 구할 수 있을 것이다. \begin{equation} \varphi(\vec{r})=\varphi_1(\vec{r})+\frac{1}{4 \pi \epsilon_0} \int_S \frac{\sigma\left(\vec{r}^{\prime}\right) d a^{\prime}}{\left|\vec{r}-\vec{r}^{\prime}\right|}, \end{equation} 그러나 $\sigma$가 미리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좀더 쉽게 포텐셜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영상전하법은 도체 대신 도체와 동일한 경계조건을 만족하는 영상전하를 도입하는 것이다. 그림에서 만족해야할 경계조건은 도체표면의 모든 위치에서 동일한 포텐셜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만족시킬 수 있는 영상전하는 그림과 같이 $-q$의 영상전하가 표면에서 $-d$의 위치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면 실제전하와 영상전하의 총 포텐셜은 다음과 같다. $$ \varphi(x, y, z)=\frac{q}{4 \pi \epsilon_0 r_1}-\frac{q}{4 \pi \epsilon_0 r_2}, $$ 위 식에서 점전하 $q$에 의한 포텐셜 $\varphi_1(\vec{r})$과 영상전하 $-q$에 의한 포텐셜들은 각각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varphi_1(x, y, z)=\frac{q}{4 \pi \epsilon_0 r_1}=\frac{q}{4 \pi \epsilon_0 \sqrt{(x-d)^2+y^2+z^2}} . $$ $$ \varphi_2(x, y, z)=-\frac{q}{4 \pi \epsilon_0 r_2}=-\frac{q}{4 \pi \epsilon_0 \sqrt{(x+d)^2+y^2+z^2}} $$ 전기장은 다음과 같이 얻어지고, \begin{equation} \sigma(y, z)=\left.\epsilon_0 E_x\right|_{x=0}=-\frac{q d}{2 \pi\left(d^2+y^2+z^2\right)^{3 / 2}} \end{equation} 전하 $q$가 도체 표면으로부터 받는 힘은 다음과 같다. \begin{equation} \vec{F}=-q \nabla \varphi_2 \end{equation} 주의할 것은 위 전기장은 도체 외부영역에서의 값이라는 것이다. 영상전하는 단지 도체 외부에서의 전기장을 구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어서, 도체 내부의 전기장은 0이다.
• 무한 도체 점전하 예제2

그림과 같이 공간의 3/4을 차지하는 도체가 있고 나머지 빈공간에 점전하 $q$가 있는 경우 빈공간에서의 전기장을 구해보자. 경계조건은 도체면 모든 지점의 포텐셜이 같은 값을 갖는 것이다. 이 경계조건을 달성할 수 있는 영상전하는 그림과 같다. 그래서 빈 공간에서의 포텐셜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 \varphi(x, y, z)=\frac{q}{4 \pi \epsilon_0 r_1}-\frac{q}{4 \pi \epsilon_0 r_2}+\frac{q}{4 \pi \epsilon_0 r_3}-\frac{q}{4 \pi \epsilon_0 r_4} $$ • 도체 구 주위의 점전하

위 그림과 같이 중성 도체구 주위에 점전하가 하나 있는 경우 전기장을 구해보자.
반무한 도체 예제에서는 영상전하의 크기가 실제 점전하의 크기와 동일하게 주어지면서, 등퍼텐셜인 지점이 무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보았다. 만약 그 영상전하의 크기가 점전하의 크기보다 좀 작아진다면, 등 퍼텐셜면이 무한 평면에서 좀 후퇴하면서 구면을 이룰것이라 상상할 수 있다. 이 구면을 어떤 도체구의 구면라고 생각한다면, 도체구 문제를 영상전하 문제로 바꿀 수 있음을 알수있다. 경계조건을 만족하는 영상전하의 전하를 $q'$이라고 하고, 위치가 구의 중심에서 $b$ 만큼 떨어져 있다고 하자. 실전하와 영상전하가 위치 $P$에서 만드는 포텐셜은 다음과 같다. $$ \begin{aligned} &\varphi(r, \theta, \phi) =\frac{q}{4 \pi \epsilon_0 r_1}+\frac{q^{\prime}}{4 \pi \epsilon_0 r_2} \\ & =\frac{1}{4 \pi \epsilon_0}\left(\frac{q}{\sqrt{r^2+d^2-2 r d \cos \theta}}+\frac{q^{\prime}}{\sqrt{r^2+b^2-2 r b \cos \theta}}\right) \end{aligned} $$ 이 포텐셜이 $r=a$에서 모든 $\theta$에 대해 같은 포텐셜($=0$)을 가지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begin{aligned} \varphi(a, \theta, \phi) =\frac{1}{4 \pi \epsilon_0}\left(\frac{q}{d\sqrt{\left(\frac{a}{d}\right)^2+1-2 \left(\frac{a}{d}\right) \cos \theta}} \right.\\ \left. + \frac{q^{\prime}}{a\sqrt{1+\left(\frac{b}{a}\right)^2-2 \left(\frac{b}{a}\right) \cos \theta}}\right)=0 \end{aligned} $$ 위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음이 만족해야 한다. $$ \frac{q}{d} + \frac{q'}{a} = 0 \quad \rightarrow \quad q'= -\frac{a q}{d} $$ $$ \frac{a}{d} = \frac{b}{a} \quad \rightarrow \quad b=\frac{a^2}{d} $$ 현재 상황에서 경계조건을 계속 만족시키면서 두번째 영상전하가 추가될 수 있다. 두 번째 영상전하는 도체 구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전하 $q''$으로 표현될 수 있고, 다음과 같이 포텐셜이 주어진다. $$ \varphi(r, \theta, \phi)=\frac{1}{4 \pi \epsilon_0}\left(\frac{q}{r_1}+\frac{q^{\prime}}{r_2}+\frac{q^{\prime \prime}}{r}\right) $$ 두번째 영상전하는 도체면에 다음과 같은 포텐셜을 추가할 뿐 도체면상에서 포텐셜이 이정하다는 조건은 여전히 만족시킨다. $$ \varphi(a, \theta, \phi)=\frac{q^{\prime \prime}}{4 \pi \epsilon_0 a} ; $$ 주어진 포텐셜로부터 도체 표면 근처의 전기장을 얻을 수 있고, 다음 식으로부터 도체 표면의 면전하 밀도를 얻을 수 있다. $$ \sigma(\theta, \phi)=-\left.\epsilon_0 \frac{\partial \varphi}{\partial r}\right|_{r=a} $$ 도체공에 대전된 총전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Q=q^{\prime}+q^{\prime \prime} $$ 접지된 공이면 $\varphi(a, \theta, \phi)=0$ 또는 $q'' = 0$
중성 구이면 $q'' = -q'$를 적용한다.

3.5 전산풀이법

미분방정식을 컴퓨터로 푸는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유한 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 FDM), 유한 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FEM), 유한 체적법(finite volume method, FVM)
이 중에서는 유한 차분법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공간을 그림과 같이 나누어 $x$방향으로의 index를 i, $y$방향으로의 index를 j로 하는 점들로 이루어진 메시를 형성한다.
이러한 공간내에서 Poisson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불연속화(discretize)한다. $$ \nabla^2 \varphi(x,y) = -\frac{1}{\epsilon_0} \rho(x,y) $$ $$ \frac{\partial^2 \varphi}{\partial x^2} + \frac{\partial^2 \varphi}{\partial y^2} = -\frac{1}{\epsilon_0} \rho(x,y) $$ 이해를 돕기 위하여 1차원 문제로 단순화 하자. $\frac{\partial \varphi}{\partial x}$는 다음과 같이 불연속화 될수있을 것이다. $$\frac{\partial \varphi}{\partial x} = \frac{\varphi_{i}-\varphi_{i-1}}{x_{i}-x_{i-1}} \quad 또는 \quad \frac{\varphi_{i+1}-\varphi_{i}}{x_{i+1}-x_{i}}$$ 그러면 $\frac{\partial^2 \varphi}{\partial x^2}$는 다음과 같이 불연속화 될수있을 것이다. $$\frac{\partial^2 \varphi}{\partial x^2} = \frac{\frac{\varphi_{i+1}-\varphi_{i}}{x_{i+1}-x_{i}}-\frac{\varphi_{i}-\varphi_{i-1}}{x_{i}-x_{i-1}}}{\frac{x_{i+1}-x_{i-1}}{2}} $$ 단순화하기위해 메시 간격이 모두 $\Delta x$로 일정하다면 $$\frac{\partial^2 \varphi}{\partial x^2} = \frac{\varphi_{i+1}+\varphi_{i-1}-2\varphi_{i}}{\left(\Delta x\right)^2} $$ $i=1$에서 불연속화된 Poisson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rac{\varphi_{2}+\varphi_{0}-2\varphi_{1}}{\left(\Delta x\right)^2} = -\frac{1}{\epsilon_0} \rho_{1}$$ $i=2$에서 불연속화된 Poisson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rac{\varphi_{3}+\varphi_{1}-2\varphi_{2}}{\left(\Delta x\right)^2} = -\frac{1}{\epsilon_0} \rho_{2}$$ $i=3$에서 불연속화된 ... 위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다시 쓰면 $$ \left. \begin{array}{ccccc} -2\varphi_{1} & \varphi_{2} & & & \cdots & = -\frac{\left(\Delta x\right)^2}{\epsilon_0} \rho_{1}\\ \varphi_{1} & -2\varphi_{2} & \varphi_{3} & & \cdots & = -\frac{\left(\Delta x\right)^2}{\epsilon_0} \rho_{2}\\ & \varphi_{2} & -2\varphi_{3} & \varphi_{4} & \cdots & = -\frac{\left(\Delta x\right)^2}{\epsilon_0} \rho_{3}\\ \cdots & \cdots & \cdots & \cdots & \cdots & = \cdots \end{array} \right. $$ 위 연립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행렬로 표현 가능하다. \begin{equation} \left(\begin{array}{lllll} -2 & 1 & 0 & 0 & 0 & \cdots\\ 1 & 2 & 1 & 0 & 0 & \cdots\\ 0 & 1 & 2 & 1 & 0 & \cdots\\ \cdots & \cdots & \cdots & \cdots & \cdots & \cdots \end{array}\right) \left(\begin{array}{l} \varphi_{1} \\ \varphi_{2} \\ \varphi_{3} \\ \cdots \end{array}\right)= \left(\begin{array}{l} -\frac{\left(\Delta x\right)^2}{\epsilon_0} \rho_{1} \\ -\frac{\left(\Delta x\right)^2}{\epsilon_0} \rho_{2} \\ -\frac{\left(\Delta x\right)^2}{\epsilon_0} \rho_{3} \end{array}\right) \end{equation} 위 행렬 방정식에서 $\varphi_{1}$, $\varphi_{2}$, $\varphi_{3}$, $\cdots$을 얻으면, 풀이가 끝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Poisson방정식을 풀기 위해서는 좀더 절차가 필요한데, 여기서는 유한 차분법에 대한 간단한 소개로 그친다.